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in r8

R ) gather(), spread() 함수 알아보기 피벗, 언피벗 feat. long type, wide type in r 안녕하세요 오늘은 data를 long type, wide type으로 변경하는것에 대해 공부한 것을 기록하려고 합니다. data의 long type은 gather(long type)함수로 실행을 합니다 반대로 wide type은 spread(wide type)함수로 실행을 합니다. 해당 함수는 tidyr패키지에 있습니다. gapminde패키지의 gapminder data set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install.packages("gapminder") library(gapminder) gapminder country는 나라, continent는 대륙, year은 년도, lifeexp는 수명, pop는 인구, gdppercap는 1인당 gdp입니다. 해당 data는 long type의 data이고 이를이용.. 2022. 4. 15.
R ) 2개의 data set을 합치는 join 함수 알아보기 in r 안녕하세요 오늘은 join에 대해 공부한걸 기록하려고 합니다. join은 dplyr 패키지에 있는 함수 입니다. data1 2022. 4. 14.
R ) apply()함수 알아보기 in r (2) feat. ( lapply(), sapply() )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에 공부했던 apply()함수에 이어서 apply함수와 관련된 함수를 공부한것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lapply, sapply 함수는 리스트 계열의 자료형을 입력받아, 각원소 마다 같은 함수를 반복하여 실행합니다. ( data frame은 list계열의 자료형 ) lapply(X,FUN) sapply(X,FUN,simplify) lapply는 list형태로 data를 반환합니다. 벡터로 활용하고 싶다면 unlist()를이용해 벡터로 변환해줄 수 있습니다. sapply는 벡터로 data를 변환합니다. simplify인자에 F를 할당하면 lapply와 같은 list로 반환하게 됩니다. lapply(X=test, FUN=mean) sapply(X=test, FUN=mean,simplify.. 2022. 4. 12.
R ) apply()함수 알아보기 in r 안녕하세요 오늘은 apply함수에 대해 공부한 것을 기록하려고 합니다. apply함수는 행렬의 행 또는 열 방향으로 같은 함수를 반복해서 실행하는 함수 입니다. apply()함수의 X인자에는 헹렬 및 배열 자료형을 넣어 줍니다. MARGIN인자에는 1또는 2를 지정합니다. 1은 행방향 2는 열방향을 지정합니다. FUN인자에는 반복실행할 함수를 지정합니다. iris test1 2022. 4. 11.
728x90
728x90